회계기준도 변화나 수정이 필요할 경우 추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어 각 기준마다 헷갈릴 수 있는 리스회계처리에 대한 효과적인 정리 요약 정보 공유하겠니다.
1. ASC 842, US GAAP 기준 알아보기
기본적으로 리스 회계처리는 IFRS 16과 ASC 842 (US GAAP)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사용권 자산을 설정하고 부채를 인식하여 리스기간 동안 감가상각하는 개념입니다.
이번에는 실무 이해를 돕기 위해 범위를 좁혀 IFRS보다는 GAAP 회계처리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Lease US에서 KR GAAP으로의 conversion은 어느 정도 규모가 있거나 외부감사를 받는 미국계 회사라면 필요한 절차입니다. 각 기준의 차이는 명확합니다. 미국 기준으로는 운용리스라고 판단이 된다면 사용권 자산과 부채를 인식해야 하고, 한국 기준으로는 균등하게 배분된 금액을 바로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이제 두 기준을 각각 알아보면서 이해를 돕겠습니다.
2. 미국과 한국회계 기준 차이 분석
- US GAAP
For operating leases, a lessee is required to do the following:
1. Recognize a right-of-use asset and a lease liability, initially measured at the present value of the lease payments, in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2. Recognize a single lease cost, calculated so that the cost of the lease is allocated over the lease term on a generally straight-line basis
3. Classify all cash payments within operating activities in the statement of cash flows.
- K GAAP
운용리스에서 보증잔존가치를 제외한 최소리스료는 리스이용자의 기간적 효익의 형태를 보다 잘 나타내는 다른 체계적인 인식기준이 없다면 리스기간에 걸쳐 균등하게 배분된 금액을 손익계산서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3. 한국기준 KGAAP에 맞게 금융리스와 운용리스 분류하기
이때 금융리스에 해당되진 않는지 한번 명확하게 확인하고 가야됩니다.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 감사를 받다 보면 수정사항이 또 나올 것이기 때문에 일단 기준을 이해하고 회계처리 논리를 세워놓는 것이 좋습니다.
- 아래 기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경우 금융리스로 분류함.(일반기업회계기준 13.6 문단)
(1) 리스기간 종료 시 또는 그 이전에 리스자산의 소유권이 리스이용자에게 이전되는 경우
(2) 리스실행일 현재 리스이용자가 염가매수선택권을 가지고 있고, 이를 행사할 것이 확실시되는 경우
(3) 리스자산의 소유권이 이전되지 않을지라도 리스기간이 리스자산 내용연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75% 이상)
(4) 리스실행일 현재 최소리스료를 내재이자율로 할인한 현재가치가 리스자산 공정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 (90% 이상)
(5) 리스이용자만이 중요한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용도의 리스자산인 경우
요약하자면, K GAAP의 경우 사용권자산/부채 설정을 할 필요가 없고 바로 비용처리가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간편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 회계처리 실무 요약이었습니다.
2024.12.21 - [직장인 유용한 정보] - 직장인 연차 계산법 - 1월 1일과 12월 31일 차이 (회계연도 연차계산)
직장인 연차 계산법 - 1월 1일과 12월 31일 차이 (회계연도 연차계산)
1월 1일 퇴사 시에는 해당 연도의 연차를 비례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연차는 근로자가 1년을 일하면 15일이 부여됩니다. 하지만 1년 미만으로 일한 경우에는 근무 기간에
newfastrun.com
'스타트업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회계, 세무와 AI 기술 융합 (1) | 2024.12.17 |
---|---|
스타트업 필수 업무 - 현금흐름 관리 Cash burn (1) | 2024.12.16 |
일본 법인세에 대한 3가지 핵심 요약 (0) | 2024.12.15 |
과거 5년 세무 신고 자료 찾기 - 세무조사 대응 전략 및 준비 사항 (1) | 2024.12.15 |
글로벌 최저한세(Global Minimum Tax)와 Pillar제도 이해 (1)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