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가 명확하게 나오는 영업 직무와는 다르게 객관적인 평가를 숫자로 나타내기 어려운 직무가 많이 있습니다. 회계도 그중 하나의 직무로서 이 직무에서 성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비즈니스적 마인드
회계 업무를 영업이나 개발, 비즈니스 측면과 관련이 없이 숫자로만 본다면 절대 이 직무에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회계 담당자는 외부감사나 세무조사 등을 받기 때문에 간혹 비즈니스와 대척점을 이루는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하면 회사 내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습니다. 결국 다 같은 회사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하는 직원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원칙과 회계기준에 따라 업무를 진행해야 하지만, 최대한 비즈니스의 관점에서 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회사 밖에서 돈을 벌어와야 재무나 회계에서 관리할 자금과 영업성과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과 아닌 사람은 장기적으로 업무 성과의 측면에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프로젝트 경험
기존에 해오던 결산 업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은 좋은 회계 담당자의 기본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업무만 한다면 승진이나 특별한 커리어를 쌓기 어렵습니다. 모두가 결산은 하기 때문입니다. 남들과 다른 일을 하지 않고 승진을 바란다면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않고 보상을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 회사에서 업무 프로세스 개선이나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다면 담당자로서 지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일도 많이 생기고 스트레스받는 작업이지만, 결국 나중에 이직 면접이나 성과평가 자리에서 할 수 있는 나만의 무기가 될 것입니다.
3. 문서화 (Documentation)
내가 해오던 일을 문서화 하는 작업은 여러 측면에서 유용합니다. 문서로 남기려면 말로 할 때보다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때 정확한 내용을 남기기 위하여 기준 등을 더욱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확인하게 됩니다. 배우는 것보다 가르쳐보는 것이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인 것과 비슷합니다. 기존에 모호하던 인수인계 프로세스를 문서화 작업하여 공유한다면 업무에 대한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성취감도 느낄 수 있습니다.
늘 바쁘고 야근 스트레스가 많은 업무이지만 평가 기준이 모호해서 성과를 입증하기 힘든 회계직무에서 어떻게 인정받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나의 경력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스타트업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에서 IPO 경험자를 자격 요건에 넣는 이유 (0) | 2025.01.11 |
---|---|
스톡옵션 핵심 정보 완벽 이해하기 - 비상장 주식 (1) | 2025.01.05 |
스타트업 이직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핵심 요소 (1) | 2025.01.04 |
스타트업 세액공제와 엔젤투자에 대한 소개 (2) | 2024.12.19 |
외부감사 - 중간감사는 꼭 필요할까요? (스타트업의 사례) (0) | 2024.12.19 |